728x90
반응형

1. 일자리 해결책과 창업

1) 국가적 과제 창업

* 일자리 감소 해결책->창업

미국, 영국, 이스라엘의 창업교육: 국가 아젠다로 기업가정신 교육 지정, ···대학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의무화

- 국내소득 2만 불 미만 국가: 창업비율이 낮을수록 국민소득이 올라감. 하지만 낮은 국민 소득”, 창업기업<대기업 > 대기업의 활성화가 국민소득 증가에 일조 ex. 우리나라

- 대기업은 효율 극대화: out-put 증대/in-put 절감 ex. 비용, 인건비 절감 > 일자리 감소

- 국내소득 2만 불 이상 국가: 창업기업의 증가

 

2) 국가 아젠다 기업가 정신 교육

*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

- 국가 아젠다로 기업가정신 교육 지정

- ,,, 대학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의무화 ex. 왓슨대학의 창업 관련 학부 신설, MIT, 스탠포드 등의 대학에서 정규과목으로 개설

* 우리나라는 7년 넘게 2만불 대에 정체

- 해결책: 창업기업 증가 > 일자리증가 기업가정신 교육 필요

* 선진국은 5년 이내 창업기업이 70%의 일자리 창출

미국은 4%의 벤처기업이 60%의 일자리 창출

- 유럽의 창업 열풍: 대학 중심의 창업 교육

ex. 베를린은 창업을 통해 2020년까지 약 10만 개의 일자리 창출 목표 > 베를린 공과대학교: 유럽의 창업 공대- 20개 이상 밴처 창업 스타트업, 68개의 스타트업 프로젝트, 16천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매출액 11억 유로 달성

- 영국의 테크시티(Tech city) 프로젝트: 2011년 발표한 런던의 북동부 슬럼가를 창업의 요람으로 바꾸려는 계획 벤처기업 창업으로 막대한 이익 창출

- 컨설팅 전문업체 맥킨지 컴퍼니: 베를린이 창업도시로 성공하기 위해 5대 이니셔티브 제안원스톱 에이전시 설립을 관료주의 폐해 막기창업자 직접 지원

창업 캠퍼스 조성

창업기금 1억 유로 확보 및 지원

창업자, 기업가, 투자자들의 창업 네트워크 형성

- 독일 엑시스트 창업 투자 프로그램: 청년 창업의 국가적 지원(청년 창업 투자 금액 6,700만 유로) > 청년실업률 탈출

 

3) 핀란드의 청년들의 창업도전

* 북유럽 국가의 창업지원 정책

핀란드: 창업 관련 지원 시설, 창업 교육프로그램, 우리나라와 다른 창업에 다른 인식

- 핀란드 기업의 선호 인재: ‘창업 경험자의 경험을 자산으로 인정(우리나라는 채용을 꺼림) >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 - 복지 기반의 사회 시스템 구축이 있어야 가능

* 핀란드기업 노키아(NOKIA): 세계 핸드폰 지장 점유율 70%, 핀란드 주식시장의 40%(핀란드의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기업이었음) > 노키아의 몰락 > 국가 위기 도래

- 몰락 전: 청년들의 입사 > 조직문화 시스템 > 창의력 상실- 몰락 후: 청년들 퇴사 > 노키아·국가 지원 > 알토대학 중심의 창업 > 경제성장률·일자리 증가 ex. 슈퍼셀의 클래시 오브 클랜, 로비오사의 앵그리버드

* 유럽 국가들이 창업을 국가적인 과제로 삼는 이유

- 일자리 창출 > 창업 기업 육성

- 국민 소득 향상 > 벤처 기업 육성

* 조지프 슘페터: 새로운 제품 개발, 신사업 도전, 시장의 확장 > 기업가적 벤처의 탄생 = 자본주의 경제의 근본적인 엔진

경제발전이론: 경제의 첫 번째 균형 상태에서 경제의 두 번째 균형 상태로 넘어가는 과정을 기술변화의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함.

기술변화 3단계: 창안단계(발명품·고안품의 창안), 혁신단계(상업성 있는 품목의 상업화) - 기업가 역할 강조, 확산단계(상업화된 신기술의 확산) > 기술변화의 과실이 경제 전체에 확산되어 경제발전

기업가의 역할: 시장성 판단, 인력 충원, 시장 개척을 통해 경제발전의 원동력 역할 > 혁신가 겸 창조적 파괴자

* 피터 드러커: 기업가는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 혁신의 중심 기업가 정신

 

2. 취업과 창업

1) 우리나라의 취업에 대한 인식

* Q. 취업할래, 창업할래? > 창업에 대한 부정적 시선

- 2000년대 초반 벤처 버블: IT육성 벤처기업 , 경제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 > 버블제거 > 청년 신용불량자 대량 생산,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 창업 2년 후 생존률 50%

* 어려운 청년창업: 취업시기=창업시기(창업 선택에 따른 높은 기회비용), 실패에 대한 안전망 구축 미비, 창업을 꺼리는 문화

* 사회적 변화

- 대기업의 창업 경험자에 대한 인식 변화: 창업 경험자의 능력(창업 경험자의 주인의식에 대한 이해)이 대기업이 원하는 인재(주인의식, 열정, 도전정신, 창의력을 갖춘 인재)에 포함

* 당장창업X 창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O

*청년들의 창업도전 필요: 창의적인 창업도전 > 일자리 창출, 기업육성 > 국가 경제의 중장기적 발전

* 국가의 경제성장과 창업 활동의 상관관계

- 국가별 기업가정신 공동연구 GEM 발표 국가 경제성장요인: 기존기업, 새로운 창업활동(G7국가에서 높은 비율 차지), 상호작용 및 기타 요인

* 우리나라 경제가 재도약·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가치관과 행동으로 무장한 기업가정신이 필요

새로운 틈새시장 개척(도전적), 끊임없는 기술개발(진취적), 고부가가치 제품개발(혁신적) >

도전. 진취. 혁신적 기업가 육성.

 

3) 창업교육

* 위험도가 높은 대학생 창업의 안전성, 건전성 높이기 위한 교육 필요.

- 창업에 대한 정의의 폭 넓히기: 학생 스스로의 사업을 시작(start-up) X > 회사나 조직에 입사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가치제안서를 만들고 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해서 성공할 수 있는 역량(사내 기업가)

학습 지식을 현장의 문제해결에 적용: 대학은 학생들의 기업가정신 문화 구축에 초점, 교수는 학생을 위한 새로운 내용 개발, 매력적인 융합과정 제공

창업 교육의 목적: 미래의 큰 변화 예측, 기업가정신 배우기, 창의적 아이디어의 발굴·보호, 사업화 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설계, 팀 네트워크 구축

* 창업의 가장 중요한 요인

- 과거 : 정보, 경험, 자금

- 현재 : 창의적 아이디어, 열정, 도전정신(3요소), 기업가정신, 팀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미리 보는 미래1]

어떠한 기술들이 미래를 바꿀 것인가?

무인자동차: 2020년 전후로 무인차 사용화 가능. 많은 직업의 소멸. 운전면허증 소멸. 기차, 버스, 대리운전 등 쇠퇴

세계 10대 미래유망기술: 웨어러블 전자기기(스마트 안경, 스마트 워치), 스크린 없는 디스플레이, 인간 미생물군집 치료법, RNA 기반 치료법, 개인 계량화 및 예측분석 기술, -컴퓨터 인터페이스, 나노구조 탄소 복합소재, 해수담수화 부산물 금속 광물 회수, 대용량 고효율 전력저장(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나노와이어 리튬이온전지

웨어러블 전자기기: 충전 문제가 있음>문제 해결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창업(새로운 사업)의 기회 ex. 체온을 통한 에너지 확보(입을 수 있는 열전소자 개발)입을 수 있는 열전소자-KAIST 조병진 연구팀, 유리섬유상(기존은 세라믹 기판으로 단단하고 무겁고 낮은 에너지 효율)에 열전소자(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주는 소자) 구현, 10cm×10cm=40mW, 50cm×100cm=2W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생체인증기술, 가상화 보안기술, 빅 데이터 기반 범죄예측기술, 초소형 비행 감시로봇, 식품 스마트패키징 기술

2. 미래소비 트렌드와 블루슈머를 토대로 제품아이디어를 도출해보자

블루슈머(미래의 소비 트렌드): 블루오션(높은 기회·적은 경쟁) + 컨슈머(소비자)

2015년 소비트렌드(Count sheep): 햄릿증후군(선택과잉의 시대+결정장애) > 큐레이션 커머스, 개인 컨설팅. 어번그래니(고등교육·경제력) > 노년층 대상 서비스. 증거중독(객관적인 정보 요구, 기업 광고 불신, 사용자 리뷰 참고), 옴니채널 전쟁(넘치는 정보, 나만의 의사결정). 숨은 골목 찾기(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 럭셔리의 끝, 평범(놈코어Normcore: 럭셔리에 지쳐 평범함으로 회귀하는 트렌드). 감각의 향연. 꼬리, 몸통을 흔들다. 일상을 자랑질하다. 치고 빠지기

트렌드 찾기 > 새로운 기회·아이디어 > 가치로 바꾸는 활동 > 기업가 정신

기술과 소비자 니즈의 결합: 기술 트렌드 + 수요트렌드

감각의 향연: 오감 만족을 추구하는 트렌드/ 놈코어와 반대

과거 지우개족(온라인 과거 삭제, 개인정보 삭제·별도 관리 수요 증가 > 휘발성 sns, 디지털 장례식, 디지털 세탁소). 스몰웨딩족(웨딩푸어를 거부, 나시혼부부 > 소규모 웨딩 컨설팅, 시회적 기업). 꽃보다 누나(엄마도 여자이고 싶다, 시간적·경제적 여유, 고등 교육 > 4050 여성 전용 패션, 화장품, 건강, 외식). 견우와 직녀(떨어져 살지만 행복, 공공기관 지방이전, 부부가 국내에 두 집 살림 > 코쿤하우스(소형주택), 반찬 배달 서비스). 반려족(반려동물에 대한 투자, 반려동물 비즈니스, 소비의 고급화·차별화, 반려동물 의료서비스 > 유기농 간식, 친환경 가구, Dog TV), 미안하지 않은 소비(배려·윤리적 소비자의 증가 > 대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 사회적 기업 > 상생의 소비, 착한 소비의 시대, 공정무역 주목). 사회에 공헌하는 소비 추구(소비를 통한 만족감, 타인의 시선이 중요, 공동체 시민의식,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공유의 보편화)

Q. 웨어러블 컴퓨팅은 어떤 제품에 활용하는 것이 좋은가?A. 쿨링 효과 또한 가지고 있으므로 의복에 부착해 쿨링 효과를 가질 수 있음.신기술을 사용할 경우 기술에서 다양한 제품의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시장에서의 필요성을 충족

좋은 기술이 유망산업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기술 트렌드와 동시에 수요트렌드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양자 간의 균형적인 접근이 필요. 또한 새롭게 출시되는 제품들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포착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사업기회를 찾아내는 것도 중요

 

[미리 보는 미래2]

사업기회 사례

위 제너레이션: 2012/8 설립, 자선활동, 크라우드펀딩(후원형), 유명인사와의 식사나 대화와 같은 자선캠페인을 통해 후원금을 기부, 소셜 기부 플랫폼

크라우드 펀딩: 후원형(후원에 대한 대가를 현물 등으로 받음). 대출형(후원한 원금에 이자를 쳐서 되돌려 받음). 지분투자형(기업의 지분을 살 수 있음)

옐로모바일: 스타트 업의 사업 지주회사, 기존의 광고성이 짙은 검색 포털 블로그나 카페와 차별화 > 믿을 수 있는 정보의 제공. 하나의 플랫폼 운영. 참여 기업과 고객에 더 큰 가치 선사. 크로스 마케팅의 확대. 트래픽·유저 증가. 관련 전문 인력 공유. 유사 서비스 제공 스타트업들과 공동활용으로 비용 절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다른 앱 서비스와 공동·교차 마케팅

delight: 저소득층 타겟의 저가 보청기(34만 원: 정부 보조금) 시장 개척. 부품직접 수입 후 자체 제작 > 생산원가 절감. 홈페이지와 직영점에서만 판매 > 유통 과정의 거품 해소

미래기술: 과거와 현재의 전반적인 사회 및 경제 > 총체적 분석 >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기술 도출

유망산업의 발굴: 블루오션의 창출 > 블루슈머들의 수요 통계 > 유망산업 도출

성공 기회: 미래기술 예측 + 블루슈머 > 유망산업 도출. 시장의 불확실성 극복 + 경쟁우위를 위한 차별화 > 창의성, 창조산업 > 창업성공

Serial Entrepreneur: 연속적인 기업(창업). 연속적으로 창업함. 미국20%, 한국1%

엔젤투자자: 성공 사업체가 창업 수익금으로 새로운 사업에 재투자함 ex. 페이팔 마피아창업 > 성장 > 회수 > 투자 > 창업특징-왜 창업을 반복하는 걸까? > 호기심. 왜 성공 가능성이 높을까? > 노하우, 경험, 자신감, 핵심인력 확보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자종이 회사(Ebook) > 매각 > 카이트 창업재단 설립(젊은 창업가 지원), 이미지앤머터리얼스(화장품 원료 공급), 오렌지 파워(에너지 저장기술, 급속충전 기술) 창업

카이트창업가재단: 엔젤투자 + 인큐베이팅. 창업가(entrepreneur) + 공간(playground) > 앙트로그라운드(entre-ground). 칭업 초기 기업에 최대 3억 원 투자금, 맞춤형 지원 서비스

한국의 문제점: 창업 > 아이퓨어 > 천억 이상의 기업

한국의 개선방향: 창업 > M&A > 재투자

 

2. 미래는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미래 인재가 가져야 할 능력(six sense):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놀이, 의미 > 디지털화, 자동화로 대체 불가능 > 하이컨셉, 하이터치

새로운 미래가 온다: 정보화시대 > 컨셉화시대(하이컨셉, 하이터치)하이컨셉 예술적이고 감성적 아름다움 창출. 새로운 패턴과 기회 감지. 서로 다른 소재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 네러티브 스토리 능력하이터치 능력 공감 이끌어 내기. 인간관계의 미묘한 감정 이해하기. 타인을 즐겁게 해주는 요소 찾기. 평범한 일상에서 목표와 의미 이끌어내기

Q. 여러 번 창업하는 것이 좋은 이유와 문제점은?

A. 창업의 시작과 끝을 겪으며 시행착오와 경험을 통해 노하우를 얻고 네트워크를 구축. 벤처 캐피탈 등과 신뢰 관계를 형성해 자금 화보에 유리. 너무 지나친 자신감은 재창업의 걸림돌

Q. 다니엘 핑크의 새로운 미래가 온다에서 육감이 나온 배경은?

A. 다니엘 핑크는 엘고어 부통령의 스피치 라이터였다가 미래학자로 변경. 디지털화, 자동화로 사라지는 가치에 대해 지적 ex. 미국의 프로그램화된 소송체계 > 자동화, 디지털화로 대체 불가능한 것들

미래기술은 과거와 현재의 전반적인 사회 및 경제 등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기술을 도출한 결과물이고, 유망산업 발굴은 결국 블루요션을 창출하는 것이 주목적. 블루슈머들의 수요 및 통계를 중심으로 유망산업을 도출하고 있는데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시장에서의 성공 기회가 온전히 미래기술예측과 블루슈머를 기준으로 한 유망산업 도출에만 있는 것은 아님. 시장의 불확실성을 극복고 경쟁우위를 위한 차별화를 통해 관련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창의성과 이를 활영한 창조산업에 주목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창조경제와 창업]

창조경제와 창업

한국의 경제성장: 모방에서 혁신으로기술혁신 공정혁신, 제품혁신(선진국 형)

기술의 발전과정: 유동기(끊임없는 새로운 연구개발 단계), 변환기(연구개발의 중간단계), 경화기(기술의 발전 단계가 떨어져 있는 단계, 새로운 가치를 얻기 어려윤 단계), 성숙단계(기술이전, 기술판매)

한국의 기술발전 과정: 60~70년대 선진국의 성숙단계 기술습득. 과도기의 중간단계 기술습득(습득 > 소화 > 변환).과거 기술구조(리벌스 엔지니어링) - 선진국에 가져간 스펙 생산 > 개발단계를 거쳐 개량 기술 연구 = 모방을 통한 성장현재 기술구조 선진국의 기술이전 중단, 후발개도국의 저렴한 인건비로부터의 추격 = 혁신을 통한 성장

창조경제의 구현의 핵심=혁신을 실천하는 기업가정신

창조경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한 경제활동 추진 시스템. 영국의 John Howkins 저서 ‘creative economy’에 의해 알려짐보다 창조적·혁신적인 파괴(큰 규모의 국익 발생). 창조경제 실현 조건(기업이 잘 커나갈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도, 시스템의 간접적 개선)UNCTAD의 정의 창조자산의 기반을 두어 진화하는 개념. 잠재적으로 경제성장과 발전에 기여 > 경제, 문화, 사회부문을 아우름. 기술, 지식, 관광업과 함께 상호작용을 하는 것사회통합, 문화 다양성, 인간 개발 촉진.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의 원동력. 경제적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경제시스템소득, 창조, 고용 창출, 수출 확대에 기여하고 사회통합과 문화적 다양성, 인간 계발의 증진경제, 문화, 사회 부문을 아우르며 기술, 지식 재산과 관광업과 상호작용, 지식기반의 경제 활동으로 국민 경제의 거시, 미시적 문제와 연계성을 가짐혁신적이고 학제적이며 부처 간 협력을 필요로 하는 실현 가능한 발전전략 중 하나

세계각국의 창조경제: 영국의 ‘Creative Britain’

창조경제를 위한 규제완화: 인터넷 쇼핑에서의 여러 절차를 기술력으로 절차 간소화

인공위성 기업: 1999IMF에 인공위성 센터 연구원이 실직 > 세트랙아이(satreci) 설립 > 2008년 코스텍 상장 > 2014년 인공위성 수출

 

2. 창조경재의 근본은 창의성

- 창의성: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 창의성 발현 시기 우리가 어떤 분야에 몰입했을 때(flow)

사전적 의미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특성어원 라틴어의 Creare(만들다)중세기의 의미 Creatio(신이 무에서부터 유를 창조함). 인간이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은 신의 영역에 대한 도전르네상스 창의성이 폭발하는 시기, 1940년도 초까지 천재들만의 전유물일반화 1946년 프랑스에서 Creativite라는 단어가 만들어짐. 1946년 미국에서 노암 촘스키 교수가 생성언어학에서 Creativity

창의성의 3요소: 전문성(문제에 관한 지식과 전문성). 창의적 사고(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내적인 동기부여(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

創意性: - 비로서(새롭다), 아플 창(곳간 창 + 도끼 도) > 기존 생각의 파괴는 존재가치의 붕괴. - 마음에 소리를 내는 것, 마음에 빛을 세우는 것

창의성과 창조의 차이: 창의성 과정. 창조자의 강한 내적 동기로 전문지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창조 결과. 기존 문제의 해결, 개선 새로운 것의 창조

팀 창의성 성공 조건: 창의적인 마찰. 수렴 과정. 환경 다지기

비긴 어게인: 인터넷 음원 판매, 다양한 녹음 장소, 다양한 소음 삽입

비즈니스 창의성 혁신: 자유로움(확산하는 것), 원칙·규칙(수렴하는 것)

Q. 창의성이 오래된 개념인데 오늘날 이슈인 이유?

A. 모방형 경제구조에서는 불필요 했으나 오늘날은 모방 경쟁에서 후발개도국이 추격을 해오고 있기 때문에 다른 면에서 가치를 창조해야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학습목표>

1. 기업가의 오해와 진실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기업가의 주요 특성을 진단해보고 보완해 나가야 할 부분들을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다.

 

<학습내용>

1. 기업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p>2. 기업가의 주요 특성 이해

 

[1]기업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1) 우리도 기업가가 될 수 있을까?

* 성공한 기업가

- 혁신적, 도전적 성과를 보인 기업가

- 평상시 누구나 훈련과 교육으로 갖출 수 있음

Q.기업가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가?

- 기업가는 모범답안이 없음 ex. 정주영(액티브, 와일드), 이병철(정적, 치밀)

- 후천적으로 학습가능

- 노력, 열정, 개성으로 회사 창립(페이스북: 자신의 부족함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활용함.)

 

Q.기업가는 색다른 것을 보고 만드는 사람인가?

- 새로운 것<기존의 것을 개선, 결합(셀카봉)

- 주변의 것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기업가 될 수 있음

- 맥도날드: 레이 크록이 세계적 브랜드로 일구어 냄(햄버거 제조 시스템에 주목하고 확장 제안)

기존 아이디어를 개선, 변화 중요

 

2) 기업가는 성공보다 실패 확률이 더 높아 위험하다?

- 마크 주커버그: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아서 생기는 리스크다.'

> 준비와 고민이 중요!

- 잡플래닛: '사업을 해서 실패를 하면 할수록 그 다음에는 성공할 확률이 더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 포스트잇: 3M에서 실수로 개발한 떨어지는 접착제로 아트 프라이가 포스트잇 개발

> 실패를 새로운 방향 제시나 기회로 생각하는 태도를 길러라!

 

3) 성공적인 기업가가 되기 위한 모범 답안이 있다?

- 성공한 기업가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성공한 기업가가 되는 것은 아님

- 본인이 가진 특성을 이해

- 나름의 특성과 역량으로 길을 만들어가는 사람

- 한정된 자원(자신의 특성과 역량)을 활용해 창의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사람

* 닉부이치치

- 잘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

- 자신의 취미를 즐기며 행복 전도사의 삶 선택

* 계획, 설계, 실천 --> 실패 --> 실패는 근본적인 변화 ----> 실패가 기회가 될 수 있음

 

[2]기업가의 주요 특성

1) 도전정신 : 성공적인 기업가는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한다.

- 적극적인 도전정신: 어렵고 위험한 일도 해야 함. 부족한 자원과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문제 해결. 기업가의 기본적인 태도인 도전 정신 갖춤. ex.. KFC

- 지식을 행동으로 옮겨라

2) 진취성 : 성공적인 기업가는 새로운 기회를 한 발 앞서 포착한다

- 초경쟁의 시대 --> 기업의 경제성장, 기업 경쟁력 향상 > 적극적인 태도 필요 > 시장변화에 참여하려는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

-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사고방식 ex. 1984년 아산만 방조제 건설, 정주영 공법

> 훌륭한 아이디어 대 실행의지

*성공적인 기업가

-주위의 문제나 수요를 면밀히 관찰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행동

 

3) 혁신성 : 성공적인 기업가는 창조적 파괴를 통해 늘 변화한다

* 익숙하고 편한 것 vs. 새로운 시도와 변화 > 창조적 파괴

* change->chance

 

4) 위험감수성 : 성공적인 기업가는 위험을 예측하고 통제한다

* 성공 가능성이 높은 분야는 새로운 가치 창출 어려움

* 위험하지 않은 꿈은 꿔야 할 가치가 없음

* 리스크에 대한 통제 관리가 중요

- 맥클란드의 위험감수성: 기업가 정의 핵심적 요인, 기업가와 경영자 구분기준, 도전하려는 의지, 적극적 기회 모색의 의용, 위험을 계산하고 통제

* 기업가 특성

- 몰입(commitment): 시간, 노력, 가족의 희생을 요구 받음. 고통스러운 과정에서 모든 것을 투자하고 몰입

- 결단력(determination): 냉철하고 신속한 결정

- 인내심(perseverance): 기발한 아이디어<자신의 분야에 몰두

- 성취욕(drive to achieve): 스스로가 정한 기준과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욕심이 있음> 위험이 있어도 도전

- 기회 지향성(opportunity orientaion): 자원, 조직의 구조, 전략<자신의 기회 > 중요한 이슈 도출, 목표지향적

- 독창성(initiative): 어려운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지려고 함.

적극적인 태도

창의적인 시각

도전 의식

 

Q1.성공한 기업가들은 타고난다고 볼 수 있나요?

A.절대 아니다.

자신만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올바른 기업가의 자세

 

Q2.기업가가 되기위해 평소 어떤 태도를 갖춰나간다면 좋을까요?

A.사물을 창의적으로 바라보는 태도

새로운 방향에서 개선하고 혁신할 수 없을까하는 질문

 

Q3.기업가로서 꼭 갖춰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A.적극적인 태도, 창의적인 시각, 도전 의식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학습목표

1. 기업가정신의 개념을 이해하고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기업가정신이 경제성장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학습내용

1. 기업가정신이란?

2. 기업가정신의 중요성

 

[1]기업가정신이란?

1) 기업가정신의 이해

* 기업가정신

- 좁은 의미: 기업가로서 갖추어야 할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마인드 또는 혁신적 사고

- 넓은 의미: 기업가가 가지는 정신, 태도, 사고방식. 적극적태도, 혁신적태도, 역량

- DonaldF.kutratko: 정신적 상태나 심리적 요소, 태도 + 개인적 특성과 행동, 역량(마인드, 태도, 역량)

3요소: 마인드, 태도, 역량

- 자원의 제약 + 부족한 자원 => 자금, 기술, 자원이 풍부할 수 없음.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나아가는 것.

* 기업가(Entreprendre)의 이해: 중세 유럽 자원의 부족, 새로운 대륙 진출 필요, 진취적인 사람의 도전 > (남들이 거부하는) 위험하고 불가능한 일에 도전하는 사람

- 슘페터: 혁신적인 직능, 창조적 파괴 = 기업가 정신의 혁신성

 

2) 기업가 정신이란 무엇인가?

* 기업가

- 企業家: 새로운 사업을 운영, Business man, Owner

起業家: 혁신적인 활동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정확한 의미의 기업가, Entrepreneur > 누구든지 기업가가 될 수 있음

 

3) 기업가 정신의 정의

* 기업가정신의 공통적인 의미

- 적극적 도전적 태도 혁신적인 변화로 사물을 바라보는 능력 리스크가 있어도 도전하고 극복하는 태도 => 진취성 혁신성 위험성

칸티용: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을 부담하고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 슘페터: 기존의 것을 파괴한다. 나아가려고 하는 것이 기업가정신의 요체다

- 티몬스: 아무 것도 아닌 것으로부터 가치 있는 어떤 것을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행동

- 피터 드러커: 변화가 제일 중요, 변화를 새로운 기회로 바꾸는 것이 기업가 정신!

- 칼 베스퍼: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

4) 기업가 정신의 사례

* 기업가정신의 역량

- 인적, 물적 자원의 경영 능력, 리스크가 있어도 극복하고 도전하는 자세> 초기 벤처 기업의 사례에서 기업가 정신을 볼 수 있음

* HUMAX 변대규 대표

- 기업가정신 : 변화를 탐구, 변화에 대응, 변화를 기회로써 이용하여 혁신을 이루려는 정신

建人: Control Information Systems Lab, 사람을 세우는 기업

HUMAX: 인간(HUman)을 극대화한다(MAXimize)

- 좋은 인재 유지

- 효율적인 인력시스템 구축

- 사람에 대한 신뢰

 

5) 기업가 정신의 확장

* 핵심적 마인드, 진취적 태도, 경영 역량 -> 비즈니스 외 다른 영역에서도 필요

- 조직 구성원에게도 기업가정신 필요 > 사회의 문제 역시 혁신적 개혁 가능창업, 개인적 기업가정신 > 사내 기업가정신 > 사회적 기업가정신

* 사내 기업가정신

-오너만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것 아님

-구성원 모두(CEO~하급 관리자) 도전하고자 하는 조직 문화가 충만해야함

-최근 CEO는 기업가 정신이 충만한 직원 선발

-조직의 끊임없는 혁신

*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회적 변화와 가치 창출을 가져오는 기회에 대한 새로운 과정

-사회적 기업, 마을 기업 등에도 기업가적인 태도와 역량이 적용

* 스티브잡스(사내적 기업가정신-조직의 끊임없는 혁신), 교황(사회적 기업가정신-사회적 문제 극복 의지) 공통점

-뚜렷함과 상징: 혁신의 방향 제시(명확함, 단순함) > 심플한 디자인, 가난한 교회

-과감과 진심: 실행하지 않으면 혁신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 진심으로 상대방을 배려한다는 신뢰

-다르게 생각하기: ‘다르게 생각하기는 애플의 정신 그 자체, 예수를 안 믿는다는 사실만으로 지옥에 간다는 의견들과 거리

-인간적으로 소통하기: 그림을 통해 단순한 프레젠테이션으로 소통하는 경영자, “대화를 한다는 것은 상대방이 뭔가 좋은 것을 갖고 있다고 확신하는 것”, “공감하는 능력이 진정한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2]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

1) 기업가 정신에 대한 관심

- 한국의 기업가정신이 후퇴하면서 국가 경쟁력도 뒷걸음.

*국가 경쟁력과 기업가 정신

-경기불황 극복 위한 기업가정신 발휘 요구

-창조경제의 바탕은 기업가 정신

2) 기업가 정신과 국가 경쟁력

* 이스라엘 '후츠파 정신': 어렸을 때부터 의문을 던지고 변화하며 행동하는 습관이 기업가 정신 발달

이스라엘의 1개 대학에서 연간 특허료만 1조원이상 매출 세계 경제 위기에서 단 한 개의 은행도 쓰러지지 않음.

 

* 성공창업 핵심요소

- 창업가 : 열정, 의지, 마인드 / 도전적, 진취적 태도 / 리스크에 대한 극복

혁신적 제품을 만들며 기업성장 but, 모든 사람들이 새로운 가치를 옹호하고, 역사에 기여하는 것이 기업가 역할

창업가들의 가장 중요한 준비 요소는 기업가정신

 

Q1.기업가 정신이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이야기되고 있는데, 어떤 점 때문에 강조되고 있는 것일까?

A.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 핵심.

우리 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

창조경제의 근본은 기업가 정신

 

Q2.기업가정신의 정의?

A.지금과 같은 경쟁의 시대에 반드시 필요.

모든 사람들이 가져야 할 마인드, 태도.

열정적인 의지와 태도

 

Q3.대학생들이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A.기업가의 태도, 마인드, 의지가 중요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면, 점차 훌륭한 기업가로 성장할 수 있을 것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학습목표

1. 기술창업에 있어서 필요한 기업가정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공공분야에 있어서 필요한 기업가정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대학 내에서 필요한 기업가 정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기타 분야에서 필요한 기업가정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학습내용

1. 기술창업과 기업가 정신

2. 공공분야에서의 기업가 정신

3. 대학 내에서의 기업가 정신

4. 기타 분야의 기업가 정신

 

[1] 기술창업과 기업가정신

1.기술창업이란 무엇인가?

*기업가정신의 다양한 영역: 기술적 분야(기술창업이나 기술적 혁신 부분), 공공 분야, 대학 분야

* 고용없는 성장과 일자리 창출 정체현상 지속

->창업기업의 고용창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

* 기술혁신형 창업: 기술 + 기업가 정신

* 기술창업이란?

- 특정분야의 혁신기술을 창출하는 기업의 창업

- 벤처창업 또는 기술집약형 기업창업을 포괄

ex. 미국의 실리콘 벨리

* 신기술 또는 아이디어를 독립 기반 위에서 영위하는 신생기업의 창업

*실제 기술의 산업화 과정에서 어려움

- 초기 기술개발 과정 -> 성장필요의 단계(죽음의 계곡 death valley) -> 제품 양산 및 판매(사업화)

 

[2] 공공분야에서의 기업가정신

* 혁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한 공공분야

-종래의 계층제적 관료 조직 중심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강조

-> 포괄적이고 개혁 지향적 국가경영 개념 필요

* 변화와 혁신의 바람 필요 -> 정부운영방식의 급진적 변화 필요

- 주민을 찾아가는 서비스

공공 기업분야에서 필요한 기업가 정신

: 국민들이 필요한 서비스는 무엇인가?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는 무엇인가?

-> 정부가 변화에 뒤처지지 않고 발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 필요!

-> 시민들과 상호소통, 제도 도입

* 민영화, 국민과 상호소통: 1980년대 이후 정부 능력 한계 극복을 위해 시장원리와 경쟁 개념 도입

- 관료제(정부 혁신에 대하 노력 필요) -> 기업가적 정부(민간 개방형 공직 증가, 시장논리, 시민의 선택권 부여)

*미국의 공공기업에 대한 정부혁신의 핵심

국가 경쟁력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의존성 증가

공공부문에 대한 정부 혁신의 핵심: 기업가 정신, 경영관리 기법 도입 -> 기업가적 정부

 

[3] 대학 내에서의 기업가 정신

1. 대학 내 기업가 정신

* 사회 구성원 육성 급격한 변화 보다는 새로운 지식 연구-> 급격한 변화 보다는 느리게 움직여 옴 ->조직이나 기업에 적응을 못하는 문제 발생

- 지식정보중심 사회에서 점점 커지는 대학의 역할

* 창업강좌, 기업가정신 강좌의 증가: 사회의 변화와 트랜드에 적응 + 기업가적인 마인드

-> 경쟁력을 가진 인재

* 대학은 어떻게 변화해야 되느냐?

대학도 기업가적인 태도, 기업가적인 마인드, 기업가적인 역량을 갖추어야 함

- 대학 기업가 정신이란?

대학이 주체가 되어서 산학협동연구, 특허, 라이센싱, 창업, 기술이전, 지역경제발전 등 다양한 활동들을 혁신과 연계시킨 기업가적인 활동

지식만 가르치는 일방적인 정보전달의 기능(수동적인 기능) ->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는 적극적인 사고와 행동(적극적인 태도)

 

2. 대학 내 기업가정신의 필요성

* 우리사회 혁신엔진으로서 역할이 미흡하다

-> 급변하는 사회 및 경제 환경 속에서 변화를 요구 받고 있는 대학의 역할

* 더 많은 재원 확보를 위한 대학의 노력: 대학 기업가정신의 촉진

-> 산학협동 노력 강화: 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산업계 이전(사업화), 다양한 수익창출 매커니즘 도입(ex. 연구 개발 사업화)

첫째, 대학은 어떤 조직이나 어떤 지역보다 보유한 기술이 많다

- 연구,기술 -> 사업화 -> 특허 -> 기술 이전 -> 학교기업 -> 학생창업

둘째, 대학교 기업가정신을 촉진시킬 수 있느냐!

- 대학 전체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 어떻게 변하고 혁신해 나갈 것인가, 어떠한 기능을 해야 하는 가

- 민간기업, 지역사회와 같이 협력: 대학 <-> 산업계 -> 제도적인 장치로 확장

-> 적극적인 연구활동 장려, 인센티브 제도, 다양한 경험의 기회

-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아이디어, 제품, 모델, 비즈니스화 -> 학생으로서 가져야 할 기업가정신 함양

-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대학 간 여러 형태의 협력 필요

 

Q.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사업화가 어떻게 사업화되는 것이 바람직한가?

- 특허, 기술 이전, 산학 협동, 벤처 창업

Q.대학 기업가정신을 어떻게 하면 촉진시킬 수 있는가?

- 난양이공대학 : 정부 주도

- 싱가포르국립대학 : 대학 자체 주도

Q.대학의 파트너로서 민간기업의 역량(기술이전 및 사업 흡수의 핵심)

- 민간기업 역량 평가 및 파트너 선정

- 산학간의 관계 형성 및 관리

- 산학협동의 구체적 방식에 대한 연구 노력

Q.기업가정신이 발휘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어떻게 마련해 나갈 것인가)

- 대학<->기업: 역량 부족 시 제도적 보강 방안 마련

- 대리 창업자

- 중간 개발조직 설치

Q.국가간/지역간/대학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음

-대학 기업가정신 촉진을 위한 정부 정책에 대한 연구 노력 필요

Q. 대학의 미션과 유형에 따라 어떤 형태의 기업가정신이 적합한가?

- 국가적 현안에 대해 대기업과 협력

- 지역적/특화된 현안 대상 중소기업과 협력

 

[4] 기타 분야의 기업가 정신

@가족기업: 오랜 경제활동으로 세대를 이어 세습되는 가족형태 창업

- 역기능 : 대기업의 가족 세습

- 순기능 : 자연스럽게 기업가정신을 가지게 되고 창업에 대해 관심

@법과 기업가 정신: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 시도

- 법학과 기업가정신의 융합

- 관련된 교육 및 연구

- 정보교류 및 확산과 정책 형성

@소수자 및 여성 기업가정신: 취업 및 경제적 빈곤의 어려움

 

질문1.기업가정신은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가들에게 요구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나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가치나 철학

-조직 내의 구성원 공무원, 대학 등에도 필요

 

질문2.구체적인 예

-초경쟁의 시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서 조직 내에 기업가정신을 가진 구성원 필요 -> 조직, 기업의 경쟁력

 

질문3.대학에서도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어떤가요?

기존의 방식으로 교육하고 운영해서는 변화에 뒤쳐져

-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가진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조직과 인프라를 혁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